뱅크런 뜻 뱅크런이란 예금주들이 한꺼번에 인출하는 것 대규모인출사태

은행에 문제가 생기면 예금주들은 은행에 맡겨둔 예금을 모두 인출하기 위해 한꺼번에 몰리게 된다. 이런 현상을 대규모인출사태 혹은 뱅크런이라 한다. 뱅크런이 발생할 경우 인출할 능력이 없는 은행의 경우 파산에 이르며, 예금주들은 예금보험공사가 지정한 금액만큼 예금을 보호받을 수 있다.

뱅크런 뜻 뱅크런이란

경제가 어려우면 대출이 심해지고 개인들은 실물자산을 모으기 시작한다.

투자보다는 안전자산을 위해 은행을 찾지만, 은행 또한 긴장을 할 수 밖에 없다.

망할 일 없다는 은행도 파산이란 것을 피할 수 없는데 대표적으로 뱅크런에 의해 은행은 무너진다.

뱅크런은 대규모인출사태를 의미하는 단어로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이 몰려 예금을 인출할 때 발생한다.

은행은 고객의 돈을 보관이고 이자를 불리는 역할도 하지만, 투자활동도 하고 있다.
만약, 위와 같이 고객들이 자신의 예금을 찾기 위해 은행으로 몰려와 대규모 인출 사태가 벌어지는 뱅크런 사태가 벌어지는 경우 은행이 가지고 있는 예금액이 부족한 경우 은행은 파산하게 된다.

단어의 의미

뱅크런의 단어를 살펴보자.

뱅크런은 영어로 Bank Run 이라 하고, run of the bank 로 표현하기도 한다.

은행은 기본적으로 고객들의 돈을 맡아 관리한다.
고객은 필요할 때마다 은행에서 돈을 인출할 수 있다.
보통은 예금을 위해 고객이 은행을 방문하지만, 어떠한 이유로 예금을 찾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은행으로 달려가는 경우 뱅크런이 발생한다.

즉, 자신의 예금을 찾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은행으로 달려가는 모습을 표현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은행의 파산

은행은 사람들에 철옹성으로 보이며, 망하지 않는 회사로 비춰진다.
많은 고객들의 돈을 가지고 있기에 돈이 많은 회사로 인식이 되어 있다.

은행은 고객으로부터 예금을 관리하고 투자를 통해 고객들에 이자를 나눠주는 수익 회사이다.
많은 돈이 모여있기에 다른 고객에 대출도 할 수 있고, 투자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은행의 행위가 잘못되는 경우, 혹은 어떤 행위로써 소문이 나쁘게 퍼질 경우 사람들은 불안감으로 은행에 맡긴 예금을 찾으려 몰려들 것이다.

그렇게 은행은 예금을 찾기 위해 몰려든 사람들로 대규모인출사태인 뱅크런이 발생하고 사람들에 지급할 예금이 부족할 경우 은행은 파산하게 된다.

지불준비금 은행의 파산을 막는다.

옛날부터 뱅크런 사태는 존재했다.
사람들이 예금을 찾기 위해 한꺼번에 몰리는 경우 은행은 난감해 질 수 밖에 없다.

은행의 파산을 막고 예금자들에 인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은행은 지불준비금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과거의 사례 때문인지 국가마다 혹은 은행마다 지불준비금을 보유하고 있다.
한꺼번에 사람들이 몰려도 인출을 해 줄 수 있도록 준비한 것인데 보통 10% 정도를 보유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은행이 100억원의 예금이 있다면 10억원의 지불준비금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뱅크런 사태가 발생시 은행은 고객들에 준비해 둔 지불준비금으로 이를 방어하며, 파산을 막을 수 있다.

그럼에도 은행의 파산은 막을 수 없는 경우들도 있다.

예금자보호제도 예금자를 보호한다.

예금자들의 대규모인출사태로 벌어지는 뱅크런은 은행을 파산시키는 원인이 된다.
그렇기에 국가는 법적으로 예금자보호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예금자보호제도는 은행이 파산하고 인출할 능력이 없는 경우 예금보험공사가 대신 인출을 대신 해주는 제도를 말한다.

인출을 대신 해 줄 뿐이지 예금한 만큼의 전체 금액을 받을 수는 없다.

우리나라의 예금자보호제도는 최대 5천만원까지 보호하며, 만약, 뱅크런 등으로 은행이 파산할 경우 예금보험공사로부터 예금을 보호받을 수 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재고와 제고의 뜻과 차이 재고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 제고

MOU 체결이란 뜻과 이유 / 서로간의 신뢰 관계를 문서로써 작성하고 확인한다

Push Pull 뜻과 차이 밀고 당기고 제발 당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