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먹는 시간 식후 30분 복용 기준과 이유 약은 시간보다 먹는 것이 중요

약국에서 약을 처방받으면 식후 30분에 복용하도록 약사는 얘기한다. 반드시 지켜야할 것은 아니며, 식사직후에 약을 복용해도 문제는 없다는 뉴스기사들도 있다. 단지, 약은 지속적이고 꾸준하게 먹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특정한 약들의 경우 식전에 먹는 것을 권고하고 있으니 약사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처방받은 약들의 복용시간은 체크하도록 한다.

약 먹는 시간 식후 30분 복용 기준과 이유
약은 시간보다 먹는 것이 중요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은 후 처방전을 가지고 약국에 가면 약을 먹는 방법에 대해 얘기를 듣게 된다.

특별한 약이 아니라면 식후 30분에 약을 복용하라고 하는데 거의 일반적이고 공통적인   얘기를 듣는다.

약 먹는 시간 식후 30분은 어렵지 않지만 의외로 까먹고 잊어먹고 약 먹는 것을 놓치는 경우들이 생긴다.

본인의 경우 아토피 때문에 여름이 시작되는 날이면 피부약을 먹지만 그럼에도 잊어먹는 경우들이 허다하다.

식후 30분에 드세요

약국에 가서 처방전을 계산하면 약을 받고 복약지도를 받을 수 있다.

복약지도란 자신이 먹어야 할 약을 어떻게 복용해야 하는지 약사가 얘기해 주는 것을 말한다.
이 때 빠지지 않는 것이 식후 30분이다.

꼭 식후 30분에 먹어야 하냐고 물어보면 가급적 시간은 지키는 것이 좋다고는 하지만 만약 그 시간을 놓치게 되면 괜히 안절부절해진다.

약 복용 식후 30분 이유

그런데 왜 식후 30분을 약을 먹는 시간으로 정한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간단한 이유인데, 우리가 배고플 때 음식물을 먹으면 위에는 음식물이 쌓이고 소화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기능을 한다.

위는 음식물을 소화시키기 위해 강한 산성인 위액을 분비한다.
이 때 위가 상하지 않도록 위점막을 보호하는 역할도 같이 수행한다.

식후 30분은 음식물이 충분히 소화되는 시간으로 약을 그 때 복용하면 약의 소화 또한 잘 되기 때문이다.

간혹 빈속에 약을 먹으면 속쓰림이 발생하는데 위점막이 제대로 형성이 되지 않은 상태이기도 하다.

그리고, 약은 일정주기로 규칙적으로 복용해야 질병이 나을 수 있는데 간혹 잊어먹는다면 질병의 완치되는 시간은 늘어나게 된다.

그렇기에 식사시간을 기준으로 소화가 잘 된다는 식후 30분을 연결하여 잊어먹지 않고 약을 먹도로 하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금은 약을 먹는 식후 30분은 무의미하다는 얘기도 있다.

반드시 지켜야 할까?

과거 2017년 기사를 보면 서울대병원을 시작으로 식후 30분은 식사직후로 변경되기도 하였다.

약을 먹는데 식후 30분을 굳이 지킬 필요는 없다는 것.

약국에서 처방받은 약은 주기적이고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렇기에 식사시간과 연결하여 식후 30분이라 지정했지만, 뜻하지 않은 개인적인 일들은 약을 복용하는데 잊어먹을 수도 있다.

또한, 식사 직후에 약을 먹어도 효과는 변함이 없기에 식후 30분을 무조건 지키지 않아도 된다.

단지, 특정 질병의 약들의 경우 식전에 먹어야 하는 경우들도 있기에 이는 주의하도록 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재고와 제고의 뜻과 차이 재고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 제고

MOU 체결이란 뜻과 이유 / 서로간의 신뢰 관계를 문서로써 작성하고 확인한다

Push Pull 뜻과 차이 밀고 당기고 제발 당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