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23의 게시물 표시

재고와 제고의 뜻과 차이 재고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 제고

재고와 제고는 단어의 형태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진다. 어떤 곳에서는 이들을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결론부터 보자. 재고는 어떤 곳에 쌓여 있는 어떤 것들을, 제고는 수준이나 정도를 끌어 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재고와 제고의 뜻과 차이 재고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 제고 장사를 하는 사람들의 고민은 재고에 있고, 물건을 처리하는데 있어 방법을 제고하는 일은 수시로 발생한다. 비슷한 단어인 재고와 제고에 대한 모든 것은 위의 한 구절이 나타나 있다. 한글의 특징은 발음으로 단어를 표현하지만, 단어의 어원은 한자에 있기에 비슷한 발음의 단어들은 업무적으로 난해하게 한다. 특히, 상사나 무역을 회사의 경우 경제흐름과 민감하며 거래처와 주고 받는 문서한장에도 단어의 쓰임새와 의미전달은 중요하다. 그 중 물류와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의 경우 재고와 제고란 단어를 자주 보게 될 것이기도 하다. 매일 보는 단어이겠지만, 누군가 설명이 필요하다고 하면 말문이 막힐 수도 있다. 재고란 어떤 장소에 쌓여있는 것들 재고는 어떤 장소에 쌓여 있는 어떤 것들을 의미한다. 쉽게 풀어보면 물건이 쌓여 있는 것을 말하며, 장사 또는 물류에 종사하는 분들을 고민에 빠지게 하는 것들이다. 사람들의 관심에서 밀려난 팔리지 않거나 회전하지 못하는 인기없는 것들이 특정 장소에 쌓여 있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가 재고 이다. 재고란 한자로 在庫 ( 在 있을 재 , 庫 곳집 곳 ) 이라 하고, 영어로는 stock 또는 inventory 로 표현한다. 한자에서 표현하듯 어떤 곳에 있는 것들을 의미하며, 在 (있을 재) 는 어떤 것들 제품 등이 될 수 있고, 庫 (곳집 곳)은 창고나 곳간 같은 어떤 것을 쌓아 보관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제고란 어떤 것의 수준을 끌어 올리는 것 제고란 단어는 언론사나 보도자료를 통해 자주 보게 된다. 인식제고, 이미지 제고, 전문성 제고 등 수많은 단어가 전문적인 자료에 자주 사용된다. 특히 이미지에 영향이 크게 작용하는 기업의 경우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보도자료를...

구단선이란 중국이 주장하는 남중국해의 해상 경계선

이미지
구단선은 중국이 주장하는 남중국해의 경계선으로 9개의 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단선에 인접한 국가로써 동쪽에 필리핀, 남쪽의 말레이시아(브루나이), 서쪽의 베트남이 있다. 터무니없는 주장은 주변국들의 반발을 일으키고 있지만, 구단선 내의 남중국해의 자원과 지하자원 그리고 군도들은 중국의 입장에서 포기하지 못할 지리적 요충지이다. 구단선이란 중국이 주장하는 남중국해의 해상 경계선 중국이 주장하는 영해 중 대표적인 것이 남중국해이다. 그리고, 남중국해의 경계선을 지도에 표시한 것을 구단선이라 지칭한다. 남중국해 주변으로는 중국 뿐 아니라 베트남, 말레이시아, 필리핀, 대만이 있다. 중국은 남중국해를 자국의 영해라 주장하며 인접한 국가와 수시로 마찰을 벌이고 있다. 역사적으로 증명된 바는 없고, 국제사법재판소를 통해서도 그 정당성은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남중국해를 구단선으로 지정하고 자국의 영해라 주장하는 이유는 풍부한 해양자원에 그 근거가 있다. 구단선 뜻 남중국해의 경계선 먼저 구단선의 단어를 찾아보자. 구단선은 한자로 九段線 ( 九 아홉 구, 段 층계 단, 線 줄 선 ) 이고, 영어로는 Nine-Dash line 이다. 9개의 선으로 이루어진 경계를 의미한다. 구단선 남중국해의 경계선을 의미한다. / 빨간선 첨부한 이미지를 보면 알 수 있듯 빨간색으로 그어진 9개의 선이 구단선이다. 북쪽의 중국을 포함하여 동쪽의 필리핀, 남쪽의 말레이시아, 서쪽의 베트남과 인접해 있다. 중국이 남중국해를 구단선으로 그리고 자국의 영해라 주장한 이후 주변국과의 마찰은 지속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자국의 영해라 하기엔 인접국가와 너무 가깝기 때문. 더욱이 중국에 구단선을 그린 구체적인 이유와 근거를 요구하면 여전히 묵묵부답이다. 구단선 지도와 위치 구단선은 남중국해를 지정하는 경계선을 의미한다. 위에서 이미 이미지와 언급했듯이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과 인접해 있어 지리적이나 정치적으로 여전히 마찰을 일으키는 곳이기도 하다. 국제법상 자국의 영해라 하기엔...

유통기한 지난 남은 약 버리기 폐기 하는 방법

먹지 못한 약들은 유통기한이 지나고 폐기해야 한다. 이런 약들은 가까운 약국 또는 병원, 지자체나 보건소로 갖다 주면 된다. 여의치 않다면 폐의약품 수거함에 넣는 방법도 있다. 약은 화학물에 가깝기에 종량제 쓰레기 봉투나 변기 등에 버리는 경우 뜻하지 않은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약은 질병을 치료하는 유익한 것이기도 하지만, 환경적인 측면에선 독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유통기한 지난 남은 약 버리기 폐기 하는 방법 올해도 어김없이 피부 때문에 병원을 자주 방문했다. 아토피가 재발했기 때문이다. 날이 덥고 피부에 열감이 생기면 가려움이 생기는데 어쩔 도리가 없다. 해마다 더운날이면 아토피 때문에 병원에 자주 가게 되니 실수로 약을 먹지 않아 남는 경우들이 발생했다. 작년에 먹다 남은 약을 상자에서 찾았는데 평소같으면 그냥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리겠지만 최근 어떤 뉴스를 보고 차마 그러지도 못하겠다. 약은 화학물의 일종으로 가급적이면 따로 분류하여 가까운 약국 또는 지자체, 보건소에 갖다 주면 된다고 하지만 일부에선 받아주지 않는다고도 한다. 어떻게든 버려야 하는데 곤혹이다. 약들이 남았다. 해마다 피부과를 가지고 그놈의 식후 30분 때문에 먹지 못하는 경우들이 생긴다. 지금은 식후 그냥 먹어 치운다. 처방받은 약은 어떻게든 다 먹어야 질병이 완치되는 것이 맞다. 하지만, 약상자에 들어있는 잊고 복용하지 못한 약들이 있기에 이것들은 어떻게든 버려야 할 것인데 그냥 버리면 안된다는 말이 있다. 피부에 와닿지 않지만 일단은 환경오염의 주범이 된다. 또한, 과거의 약을 6개월이상 보관하고 있다면 효능도 떨어지기에 가급적 먹지 못한 약들은 버리는 것이 맞다. 그러나 정부에서는 가급적이면 시기를 놓친 오래된 약들과 같은 의약품들은 별도의 수거함에 넣는 것을 권장한다. 그냥 버리자니 신경쓰인다. 약은 화학품의 일종이다. 이런 약품들이 그냥 버려지면 어떻게 될까하는 영상들이 여럿 있다. 주로 환경오염을 얘기하는데 만약,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담긴 약들은 일부는...

약 먹는 시간 식후 30분 복용 기준과 이유 약은 시간보다 먹는 것이 중요

약국에서 약을 처방받으면 식후 30분에 복용하도록 약사는 얘기한다. 반드시 지켜야할 것은 아니며, 식사직후에 약을 복용해도 문제는 없다는 뉴스기사들도 있다. 단지, 약은 지속적이고 꾸준하게 먹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특정한 약들의 경우 식전에 먹는 것을 권고하고 있으니 약사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고 처방받은 약들의 복용시간은 체크하도록 한다. 약 먹는 시간 식후 30분 복용 기준과 이유 약은 시간보다 먹는 것이 중요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은 후 처방전을 가지고 약국에 가면 약을 먹는 방법에 대해 얘기를 듣게 된다. 특별한 약이 아니라면 식후 30분에 약을 복용하라고 하는데 거의 일반적이고 공통적인   얘기를 듣는다. 약 먹는 시간 식후 30분은 어렵지 않지만 의외로 까먹고 잊어먹고 약 먹는 것을 놓치는 경우들이 생긴다. 본인의 경우 아토피 때문에 여름이 시작되는 날이면 피부약을 먹지만 그럼에도 잊어먹는 경우들이 허다하다. 식후 30분에 드세요 약국에 가서 처방전을 계산하면 약을 받고 복약지도를 받을 수 있다. 복약지도란 자신이 먹어야 할 약을 어떻게 복용해야 하는지 약사가 얘기해 주는 것을 말한다. 이 때 빠지지 않는 것이 식후 30분이다. 꼭 식후 30분에 먹어야 하냐고 물어보면 가급적 시간은 지키는 것이 좋다고는 하지만 만약 그 시간을 놓치게 되면 괜히 안절부절해진다. 약 복용 식후 30분 이유 그런데 왜 식후 30분을 약을 먹는 시간으로 정한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간단한 이유인데, 우리가 배고플 때 음식물을 먹으면 위에는 음식물이 쌓이고 소화시키기 위한 여러가지 기능을 한다. 위는 음식물을 소화시키기 위해 강한 산성인 위액을 분비한다. 이 때 위가 상하지 않도록 위점막을 보호하는 역할도 같이 수행한다. 식후 30분은 음식물이 충분히 소화되는 시간으로 약을 그 때 복용하면 약의 소화 또한 잘 되기 때문이다. 간혹 빈속에 약을 먹으면 속쓰림이 발생하는데 위점막이 제대로 형성이 되지 않은 상태이기도 하다. 그리고, 약은 일정주기로 규칙...

오장육부 뜻과 역할 오장육부란 다섯개의 장기와 여섯개의 기관

오장육부는 다섯개의 장기와 여섯개의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단어로 동양에서 음양오행과 마음과 같은 심신과도 연관되어 있다. 우리 몸을 지탱하기 위해 오장은 에너지를 저장하고 사용하는 장기로 각 장기는 속이 꽉 찬 상태를 의미하며, 육부는 에너지를 흡수하고 찌꺼기는 운반하여 배출하는 기관으로 각 기관은 속이 비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오장육부 뜻 오장육부란 살다보면 오장육부에 대한 얘기를 종종 듣게 된다. 오장육부는 우리 몸을 지탱하는 다섯개의 장기와 여섯가지 기관을 의미한다. 동양의 의학과 철학에서 오장육부는 삶의 일부로써 에너지를 보존하고 사용하기에 중요한 몸 속 기관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렇기에 오장육부는 몸 속의 소화기관이기도 하며 마음과 몸을 다스리는 음양오행과도 연관이 있다. 단어의 뜻 오장육부의 단어를 보면 느낌적으로 다섯개의 장기와 여섯개의 부속같은 것을 알 수 있다. 누구나 몸 속의 장기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정확히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는 굳이 찾아보지 않는다면 모를 수 있다. 오장육부는 한자로 五臟六腑 ( 五 다섯 오, 臟 오장 장, 六 여섯 육, 腑 육부 부) 이고, 영어로는 internal organs 라고 한다. 오장은 무엇이고, 육부는 또 무엇인가? 오장과 육부는 역할에 따라 구분이 된다. 오장은 우리 몸을 지탱하기 위해 에너지를 채우고 내부가 충실하고 꽉찬 공간을 의미한다. 육부는 우리 몸의 지탱을 위한 에너지를 흡수하고 남은 찌꺼기들은 옮기고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비어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종류 오장육부는 우리 몸을 위한 에너지와 양분을 흡수하고 저장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다섯개의 장기와 여섯개의 기관을 의미한다. 오장과 육부로 나뉘며 각각의 장기와 기관은 역할은 다르지만 모두 연관되고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오히려 오장육부란 단어를 찾아보면 많은 것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몸을 생각한다면 한번쯤 살펴보는 것이 좋다. 오장 에너지를 저장하고 우리 몸을 지탱한다. 오장육부의 오장은 한자로는 五臟 ( 五 다섯 오, 臟...

예금과 적금의 차이 은행에 돈을 맡기고 쌓는다

예금과 적금의 차이는 어렵지 않지만, 한자를 보면 차이가 분명하다. 예금은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이고, 적금은 은행에 돈을 쌓는 것이다. 예금은 자유로운 입출금이 가능하지만, 적금은 일정기간 입금만 가능하다. 예금이 자유로운 입출금이 가능한 대신 이자율은 낮고, 일정기간 돈을 적립하고 쌓는 적금의 경우 이자율은 높은 편이다. 예금과 적금의 차이 은행에 돈을 맡기고 쌓는다. 은행에 돈을 맡기러 가면 예금과 적금을 선택하게 된다. 예금과 적금의 구체적인 뜻은 몰라도 어떤 형태의 것인지는 누구나 알고 있다. 예금과 적금은 단어부터 차이가 있지만, 실제로 수익을 생각하는 측면에서는 적금을 논하기도 한다. 또한, 기왕 은행에 현금자산을 맡기는 만큼 이자 혹은 금리를 생각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예금과 적금은 돈을 저축하는 방법이지만, 차이가 있다면 자유로운 입출금과 이자율에 있다. 단어의 의미 예금과 적금의 차이는 서론에서 간단히 언급했다. 정확하게 단어의 뜻을 알면 예금과 적금의 뜻이 이해되고 은행에서 다르게 취급하는 취지를 엿볼 수 있다. 단어의 정확한 의미를 확인하면 예금은 단순히 돈을 맡기는 것이고, 적금은 돈을 쌓는 것에서 이미 차이가 나눠진다. 이미 한자와 관계가 있을 법한 이 단어를 풀어보면 예금과 적금의 차이를 정확히 알 수 있다. 돈을 맡기는 예금 예금은 한자로 預金 ( 預 맡길 예, 金 쇠 금) 이로 쓴다. 영어로는 saving 또는 deposit 이다. 단어에서 알 수 있듯 예금은 금을 맡긴다는 뜻으로 은행에 돈을 맡긴다는 뜻을 가진다. 돈을 쌓는 적금 적금은 한자로 積金 ( 積 쌓을 적, 金 쇠 금 ) 이라 쓴다. 영어로는 installment savings 이며, 지켜야 할 자산을 쌓는 다는 느낌을 준다. 단어에서 알 수 있듯 적금은 금을 쌓는다는 뜻으로 은행에 돈을 쌓는다는 뜻을 가진다. 금리 위에서 언급했듯 예금과 적금의 차이는 돈을 맡기고, 쌓는 것에 차이가 있다. 그렇기에 은행은 자신들에 돈을 맡기는 고객에 답례로 이자를 준다. 은행은 고...

뱅크런 뜻 뱅크런이란 예금주들이 한꺼번에 인출하는 것 대규모인출사태

은행에 문제가 생기면 예금주들은 은행에 맡겨둔 예금을 모두 인출하기 위해 한꺼번에 몰리게 된다. 이런 현상을 대규모인출사태 혹은 뱅크런이라 한다. 뱅크런이 발생할 경우 인출할 능력이 없는 은행의 경우 파산에 이르며, 예금주들은 예금보험공사가 지정한 금액만큼 예금을 보호받을 수 있다. 뱅크런 뜻 뱅크런이란 경제가 어려우면 대출이 심해지고 개인들은 실물자산을 모으기 시작한다. 투자보다는 안전자산을 위해 은행을 찾지만, 은행 또한 긴장을 할 수 밖에 없다. 망할 일 없다는 은행도 파산이란 것을 피할 수 없는데 대표적으로 뱅크런에 의해 은행은 무너진다. 뱅크런은 대규모인출사태를 의미하는 단어로 한꺼번에 많은 사람들이 몰려 예금을 인출할 때 발생한다. 은행은 고객의 돈을 보관이고 이자를 불리는 역할도 하지만, 투자활동도 하고 있다. 만약, 위와 같이 고객들이 자신의 예금을 찾기 위해 은행으로 몰려와 대규모 인출 사태가 벌어지는 뱅크런 사태가 벌어지는 경우 은행이 가지고 있는 예금액이 부족한 경우 은행은 파산하게 된다. 단어의 의미 뱅크런의 단어를 살펴보자. 뱅크런은 영어로 Bank Run 이라 하고, run of the bank 로 표현하기도 한다. 은행은 기본적으로 고객들의 돈을 맡아 관리한다. 고객은 필요할 때마다 은행에서 돈을 인출할 수 있다. 보통은 예금을 위해 고객이 은행을 방문하지만, 어떠한 이유로 예금을 찾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은행으로 달려가는 경우 뱅크런이 발생한다. 즉, 자신의 예금을 찾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은행으로 달려가는 모습을 표현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은행의 파산 은행은 사람들에 철옹성으로 보이며, 망하지 않는 회사로 비춰진다. 많은 고객들의 돈을 가지고 있기에 돈이 많은 회사로 인식이 되어 있다. 은행은 고객으로부터 예금을 관리하고 투자를 통해 고객들에 이자를 나눠주는 수익 회사이다. 많은 돈이 모여있기에 다른 고객에 대출도 할 수 있고, 투자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은행의 행위가 잘못되는 경우, 혹은 어떤 행위로써 소문이 나쁘게 퍼...

상처와 흉터의 뜻과 차이 열린 피부 상처연고 닫힌 피부 흉터연고

상처와 흉터는 피부의 상태로 나뉜다. 상처는 피부가 상하여 외부와 열려있고 감염의 위험이 있고 출혈과 진물이 생긴다. 흉터는 상처가 아물고 딱지가 생긴 후 피부가 외부와 닫힌 상태로 출혈과 진물도 멈춘 상태를 말한다. 연고를 사용한다면 상처엔 항생제가 있는 상처 연고를 상처 이후엔 흉터 연고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처와 흉터의 뜻과 차이 열린 피부 상처 연고, 닫힌 피부 흉터 연고 본인은 아토피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보니 스테로이드제 연고가 많고 상처 연고와 흉터 연고 보습제까지 같이 피부에 도포한다. 주로 가려움에 긁다 생긴 상처와 흉터 때문인데 나이를 먹은 지금 보기에 좋지 않다. 더욱이 대상포진까지 앓게 되니 연고에 대한 관심이 생겼다. 조금만 더 일찍 관심이 생겼다면 그런대로 깨끗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었겠지만 그렇지 못한 것이 후회가 된다. 아토피는 제외하고 언급하면 어떤 경우 때문에 피부가 상하면 상처가 나고 딱지가 생기고 아물고 난 후에 흉터가 생긴다. 지금은 제품들이 좋아 순서대로 발라주면 어느정도 효과를 볼 수 있기도 하다. 하루이틀만에 반응이 오는 것은 아니니 여러가지 내용을 참고해 보자. 본인의 경우 연고를 사용하는 기준은 아래와 같다. 상처가 난 경우 - 상처치료제 연고 사용 딱지가 난 경우 - 흉터제거제 연고 사용 딱지가 떨어지고 피부가 아물기 시작한 경우 - 피부재생용 크림과 보습제 사용 상처가 났다 상처용 연고 어떤 경우는 일상 생활을 하다보면 피부가 상하거나 다치는 경우들이 있다. 이런 경우 피부에 상처가 났다 라고 하며, 상태는 경우에 따라 다르다. 피부에 상처난 경우라면 일단 피부가 상하고 갈라지거나 베인 상태로 피가 나거나 진물이 날 수 있다. 외부 병균에 감염될 수 있기에 상처 부위를 깨끗이 세척해 주는 것이 좋다. 상처는 한자로 傷處 ( 傷 다치다 상, 處 곳 처), 영어로는 injury, scratch, hurt 등의 단어들이 사용된다. 단어에서도 볼 수 있듯이 상처의 뜻은 특정부위의 다친 부분의 피부의 상태가 상해 출혈이...

택배 선불과 착불의 뜻과 차이 배송 전 선불 배송 후 착불

택배비는 선불과 착불로 지불할 수 있다. 선불은 물건을 배송 전에 지불하는 것을 의미하고, 착불은 배송 후에 지불하는 것을 의미한다. 택배비의 선불과 착불은 언제 비용을 치르는지 시점에 따라 나뉠 수 있다. 택배 선불과 착불의 뜻과 차이 배송 전 선불, 배송 후 착불 물건을 신청받아 택배를 보내고자 할 때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택배를 보내는 비용인 택배비는 선불과 착불로 나뉘는데 택배비를 언제 수령하는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결론부터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택배를 보내기 전, 발송 전에 택배비를 지불하면 선불. 택배를 보낸 후, 발송 후에 택배비를 지불하면 착불. 보내는 사람이 택배비 지불 - 선불 택배는 물건을 원하는 사람이 요청을 하면 이런 저런 물류회사를 거쳐 택배를 보내게 된다. 보통 택배를 보내는 사람이 물건을 배달하는 택배비를 지불하게 되는데, 이 때는 선불로 칭한다. 선불은 한자로 先拂 ( 先 먼저 선, 拂 떨치다 불 ) 이며, 영어로는 payment in advance 이지만, 표현은 많다. 즉, 선불의 뜻은 어떤 작업이나 일이 끝나기 전에 미리 비용을 치른다는 의미를 가진다. 받는 사람이 택배비 지불 - 착불 택배는 보내는 사람이 있으면 받는 사람이 있다. 받는 사람은 수령인이라 하여 물건을 받는 어떤 특정한 이를 지칭한다. 택배를 보낼 때 보내는 사람이 비용을 치르는 경우도 있지만, 받는 사람인 수령인이 택배비용을 지불하는 경우도 있다. 수령인이 택배를 받고 비용을 치른다면 착불이라 칭한다. 착불은 한자로는 着拂 ( 着 붙다 착, 拂 떨치다 불) 이며, 영어로는 C.O.D ( by collect on delivery ) 이다. 즉, 착불의 뜻은 물건의 배송이 끝난 후 지불하는 것을 의미를 가진다. 물건을 배송하는 시점에 따른 차이 택배를 보내고 받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다. 원하는 물건을 인터넷에서 구매했을 수도 있고, 지인에게 물건을 보내는 등 이유는 여러가지다. 다만, 물건을 배송하는 택배회사 입장에서 선불과 착불의 기준은 배...

피부 연고의 종류 사용전 설명서는 읽어보고 손과 환부는 깨끗이 한다.

피부의 상처를 치료하고 재생을 돕기도 하는 연고의 종류는 크게 4가지가 있다. 증상에 따라 적절한 연고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보편적인 연고를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연고를 구입했다면 설명서 정도는 읽어보도록 하자.  피부 연고의 종류 바르기 전 설명는 읽어보고 손과 환부를 깨끗이 한다. 최근 날씨가 갑자기 더워진것도 있고, 의도하지 않은 대상포진까지 나타나 고생 중에 있다. 덕분에 연고가 종류별로 여러가지를 가지고 있다. 이미 아토피가 있기 때문에 가려운 것도 한몫하고 있고, 여기에 대상포진까지 생기니 잠을 자는 것도 일이 되어 버렸다. 더욱이 종류별로 쌓인 연고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사용한다. 어떤 연고는 맨살에 바르는 피부 재생용이기도 하고 어떤 연고는 가려움을 줄여준다. 또 다른 연고는 상처에 바른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연고의 종류에 관심이 생겼다. 연고의 종류는 금방 찾아볼 수 있고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약품안전나라 홈페이지에서 쉽게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약물에 따른 종류 일단 본인은 아토피가 있다. 언제 생길지 모르는 가려움 때문에 연고와 보습제는 항시 가지고 다닌다. 가려움으로 나도 모르게 긁다가 상처가 나는 경우도 있기에 상처 치료를 위한 연고도 있다. 이런 상황이다 보니 최소한 가지고 있는 연고는 상황에 따라 사용하고 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찾아보니 모든 종류의 연고를 가지고 있는 자신을 보면서 한숨이 나오기도 한다. 어쨌든 연고에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스테로이드제 항균제 / 항생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피부에 바르는 스테로이제를 첫번째로 한 이유는 본인의 아토피 증상은 가려움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이후 본인도 모르게 긁다가 상처가 나면 수건에 물을 적혀 환부를 깨끗이 한 다음 상처치료용 연고를 바르고 있다. 기대 효과 및 주의점 위에서 언급한 연고의 약물은 연고의 메뉴얼을 보면 잘 나타나 있다. 자신이 가진 연고에 대해 사용설명서는 한번쯤 읽어보도록 하자. 의외로 기대 효과를 볼 수 있다. 스테로이드제 습진, 피...